logo

btn_close Close
btn_blog btn_youtube btn_instagram btn_facebook btn_kakao

족부족관절

HOME > 관절/척추클리닉 > 관절클리닉 > 족부족관절

무지외반증

무지 외반증은 무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병입니다. 미국의 통계로 전 인구의 약 2-4% 가랑에서 발생한다고 하며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하이힐 착용이 증가하면서 엄지 발가락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con02_01_03_04_01
무지외반증의 원인

무지 외반증은 신발을 신지 않는 사람에서는 발생 빈도가 약 2%정도이나 신발을 신는 사람에게서 약 33%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볼 때 신발이 무지외반증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볼이 좁은 신발에 의한 반복적인 외상, 굽이 높은 신발의 착용은 엄지 발가락에 대하여 외측 으로 압박을 가하며 안쪽 돌출부를 직접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거나 신경 자극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이 변형의 원 인이 신발에 의해서만 생기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 유전적 원인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에서 발생빈도가 높기 때문에 평생 낮고 넓은 신발을 신은 사람에게서도 생길 수 있는 변형입니다. 그 외에도 편평족, 전신 인대 이완증, 신경근육성 질환, 아킬레스 건 구축, 체중 증가, 제 1 중족 설상 관절의 과운동성,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질병이 이 변형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을 말하기 어렵고 또한 정확한 예방법도 말하기 어렵습니다.

족관절골절의 증상

무지 외반증은 엄지 발가락 뿌리부분의 관절 (제 1 중쪽 쪽지 관절) 주위의 인대와 건(힘줄) 사이의 불균형이 초래되어 진행하게 됩니다. 엄지 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어지며 내측으로 회전하여 제1 중족 족지 관절이 안쪽으로 돌출된 것을 건막류라고 하는데 장시간 서있거나 걸어 다닐 때 신발과 마찰을 일으켜 통증이나 염증을 일으킵니다. 이 변형이 생기면 건막류의 통증과 신발 착용의 곤란을 가져오는 것이 주된 증상이지만, 발의 내측면의 안정성 및 보행 시 지면을 박차고 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엄지 발가락의 기능이 부지 외반증에 의해 감 소됩니다. 또한 엄지 발가락의 체중 부하 능력은 두번째 또는 세번째 발등뼈(중족골)로 전달되어 두번째 또는 세번째 발가락의 중족골 머리 부 분에 대항하는 발바닥에 굳은 살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변형이 심해지면 엄지 발가락이 두번째 발가락과 겹치거나 관절이 탈구되어 전반적으로 디디기 어려운 발이 되기도 합니다.

진단 및 검사

증상의 발생 시기, 가족력, 통증이 있는 부위 및 주로 신는 신발의 종류, 직업과 병력 등에 대해 물어보고, 앉거나 선 상태에서 족부의 정렬 상태를 관찰하고, 관절의 운동 각도, 내측 융기의 정도와 염증반응의 동반 유부를 관찰하며, 발의 내측 열을 형성하는 제1 중쪽 설상 관절의 과운동성 등에 대하여 이학적 검사를 하게 됩니다.

방사선 검사로는 서있는 상태에서 방사선을 족관절을 향해 15도 정도 기울여서 중족부에 초점을 두고 촬영한 족부 전후면, 측면, 사면 사진들 기본으로 하고 체중 부하 전후면 사진으로 다양한 방사선학적 척도를 측정하여 무지 외반증의 분류 및 수술적인 선택을 하게 됩니다. 무지 외 반각은 제 1 중족골과 근위 지골의 장축이 이루는 각으로 정상은 15도 이내이며 이 두 뼈가 만나 이루는 각이 커질수록 변형이 심해지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 20도 이하를 경증, 20-40도를 중등도, 40도 이상을 중증이라고 정의하나 이 각도만 가지고 치료 방법을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이 외에도 수술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발의 족지골과 중족골, 때론 족근골들까지 포함하여 이들이 구성하는 다양한 각도를 측정하여 지표 로 삼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무지외반증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질환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방사선 또는 혈액 검사, 근전도 검사 등을 필요로 하기도 하고 편평족 변형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평가와 치료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방법

무지 외반증이 있다고 반드시 수술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무지 외반증의 일차적인 치료는 비수술적 요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변형을 악화시키는 굽이 높고 앞이 뾰족한 신발을 피하고 발의 돌출 부위를 자극하지 않는 편한 신발을 신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있는 경증의 무지 외반증인 경우 부드럽고 볼이 넓은 편한 신발을 착용하여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신발 안에 교정 도구 혹은 중족골 패드를 착용하며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엄지발가락과 두번째 발가락 사이를 벌려주는 보조기 등을 시도해서 변형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이 교정되기를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이렇게 심하지 않은 변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행하고 수술적 치료는 변형이 악화되거나 보존적인 수단으로 통증이 호전되지 않을 때 선택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통이나 변형이 심한 중등도 이상의 변형의 경우, 또는 보존적 치료에도 신발을 신기 어려울 정도의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기 전 우선 주된 증상, 직업, 운동 수준, 수술 후 기대 정도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환자와 의사는 수술로 인해 기대할 수 있는 바를 신중히 검토하고 결정하여야 합니다. 무지 외반증의 수술 방법은 매우 다양하여 제 1 중 쪽 쪽지 관절, 즉 돌출된 관절의 관절면이 얼마나 잘 맞물려 있는지와 방사선 검사상 측정한 각 변형의 정도, 의사의 선호하는 방법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경과

일반적으로 수술 후 3일정도 지나면 특수 신발을 이용하여 보행이 가능하며 수술 후 2주째 실밥을 제거하며 퇴원 전 교육을 통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테이핑을 지속합니다. 직업의 종류와 수술 방법, 술전 변형의 정도 등에 따라 다르나 약 4~6주에 보행이 가능하며 직장으로의 복귀도 경우에 따라 가능하여 약 2~3개월이 지나면 평소에 신고 다녔던 신발을 신을 수 있으나 하이힐이나 폭이 좁은 신발은 신을 수 있더라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